본문 바로가기
내돈내산/라이프

고양이 비대성심근증(HCM) 원인과 치료 방법 알아보기

by 김베짱 베르베르 2024. 6. 10.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HCM) 원인과 치료방법 알아보기

꿀잠 자는 똥냥씨 ^ ̳. ̫ . ̳^


우리집 똥냥이 2주 전 건강검진을 하게 되었는데 심장병이 진행되고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인 고양이의 심장 모양은 아몬드 혹은 럭비공과 같은 약간의 타원형의 모양을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 똥냥씨께서는 유전적으로 심장이 작고 구와 같은 동그란 형태로,
심장이 약해 심장병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진행되지 않았으니 일상생활에서 관리를 하며 지켜보자한 것이 2년 전....
그간 무탈하게 잘 지내와서 무사할 줄 알았는데 
올해 본 건강검진에서는 심장병이 의심되는 수치를 보였고....
이제는 약 처방과 함께 사료, 간식, 영양제까지 싹 다 점검하고 처방식으로 바꾸게 되었다.
안일하게 생각했던 지난날을 후회하며 의사쌤에게 평소 우리 똥냥이를 어떻게 관리해 줘야하는지 

다시 자세하게 듣고 왔고
집에 와서도 다시 여러 가지 정보를 찾아보며 

나와 같은 집사님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에 대해 적어본다.

 

 



■ 비대성 심근증 HCM 이란?
노령묘에게서 자주 일어나는 질병이며 심장에 압박이 가해지면서 심장의 근육이 두꺼워지고 비대해지면서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심장에 근육이 비대해지면 심장 내부의 용적이 적어지고 

심장이 펌프질해서 피를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이 떨어지게 되어 

간 또는 신장 같은 다른 기타 여러 장기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진단 방법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며, 바이탈 체크, 호흡수, 심박수, 체온 측정 등으로 조기 발견이 가능하다.

■  발병 증상
무기력하고 힘이 없으며 잘 놀지 않고 잠을 많이 자게 된다. 
수면 중 호흡수로도 증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호흡수가 분당 40회 이상이라면 

심장병이 상당히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혈전이 생기면서 갑자기 뒷다리가 마비 증세가 오기도 하며 

마지막에는 폐에 물이 차기 시작해서 점점 호흡곤란을 느끼다가 갑자기 사망하게 될 수도 있다.. 

의심증상이 보인다면 자주 건강검진을 하는 것이 좋다.

■ 일상 관리방법
1. 심장박동 수를 높이는 과격한 놀이는 피한다. 낚시대를 이용한 동적인 놀이보다는 먹이 퍼즐 같은 정적인 놀이가 좋다.

2.심장병 초기 단계에는 나트륨과 단백질 함량이 적은 사료를 먹는 것이 좋다.

진행 정도에 따라 나트륨 함량이 제한된 심장병 또는 신장병 처방 사료를 먹인다.
3. 오메가 지방산, 항산화제가 들어간 영양제는 순환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꾸준히 투약하여 보조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4. 비대성 심근증은 완전히 치유할 수는 없으나 약을 복용하여 증상을 늦추며 수명을 늘리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꾸준히 약을 먹는 것이 중요하다.

약을 복용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도록 평소에 약을 먹는 방법을 연습하는 것이 좋다.

 

 

 

 


여기까지....

세상의 모든 고양이가 건강하길 바라며..
해피 투게더  ฅ(= ͡༎ຶ ᆽ ͡༎ຶ =)∫ 냥

 

 

댓글